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날이 요즘처럼 추울 땐 뜨끈한 라면 국물이 생각나죠. <br> <br>그런데 이 라면과 전쟁을 벌이고 있는 곳이 있습니다. <br> <br>바로 태백산 국립공원인데요. <br> <br>최근 산에서 불을 피워 라면을 끓여 먹고 술을 마시는 등 불법행태를 일삼는 등산객들이 늘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, 강경모 기자가 그 단속 현장에 동행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국내 대표 겨울철 산행지인 태백산에 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이곳에선 몰래 취사 도구를 가져와 라면을 끓여 먹는 등 불법행위가 끊이질 않는데요. <br> <br>등산로 입구엔 불법행위를 단속한다는 현수막도 걸려 있습니다. <br> <br>과연 분위기는 어떨까요.<br> <br>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> <br>태백산 정상으로 향하는 길, <br> <br>국립공원 단속반이 등산객들이 모여 있는 곳을 덮칩니다. <br> <br>코펠엔 라면 국물이 끓고 있고, 맥주캔도 보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선생님들 지금 취사하고 계시고 인화물질 소지하고 계시고 음주하고 계시죠.(술은 아직 안 먹었어요.)" <br> <br>불법취사를 하다 적발되면 과태료 10만 원이 부과됩니다. <br> <br>어떻게든 피하려 변명하기 급급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신분증 좀 보여주세요. (죄송해요.) 신분증 좀 보여주세요. (에이 한 번만 봐줘요. 에이, 너무 너무 추워서 그래요.)" <br> <br>사정을 해도 통하지 않자 태도가 돌변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(라면 물을 어떻게 버려. 이거 과태료 끊으면 먹어야 돼. 과태료 끊으면 먹어야 된다고.) 치우셔야죠." <br> <br>역시 라면을 먹으려다 적발된 또다른 등산객들, <br> <br>코펠에 버너까지 주섬주섬 꺼내놨지만 가스불을 켜지 않았다는 이유로 과태료 처분은 면했습니다. <br> <br>[등산객] <br>"이런 데에서 (취사가 불법인지) 몰랐는데 하도 춥고 그러니까 그랬었는데, 아예 시작을 안 했어." <br> <br>막걸리를 마시던 등산객도 적발됐습니다. <br> <br>원래대로라면 과태료 10만 원이지만 계도로 넘겼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정말 모르고 그랬습니다. 태백산이 국립공원인 걸 알고 왔는데, 제가 막걸리 한 잔 먹은 게 큰 범법행위를 한 겁니까." <br><br>등산객들은 추위를 피하고 식사를 하기 위해 이렇게 비닐 막을 쳐 놓는데요. <br> <br>불법취사의 단속 대상이 됩니다. <br><br>[현장음] <br>"국립공원 사법경찰입니다. 확인 좀 하겠습니다. 취사나 이런 거 하는 거 아니죠. (네. 비닐 찢어져요.)" <br> <br>단속반이 어제 하루 적발한 건수는 8건. <br> <br>모두 라면을 끓여먹거나 술을 마시다 덜미가 잡혔습니다. <br> <br>하루 수천 명 탐방객이 눈꽃산행을 위해 찾는 태백산. <br> <br>라면 끓여먹기 같은 불법취사는 좀처럼 고쳐지지 않는 병폐 중 하나입니다. <br> <br>코로나 사태 이후 주춤하는가 싶더니 등산객이 늘면서 불법행위는 다시 급증하는 추세입니다. <br><br>지난해 겨울 태백산에서 불법행위를 하다 과태료 부과된 건수는 65건, 전년보다 5배 가까이 늘었습니다. <br> <br>이중 라면을 끓여먹는 불법 취사는 8배나 늘었습니다. <br><br>[김상희 / 태백산국립공원사무소 자원보전과장] <br>"특별단속팀을 편성해서 안전사고 예방 및 무질서 행위 근절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. 이 점을 인식해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드립니다." <br> <br>'나 하나쯤이야'하는 일부 등산객들의 삐뚤어진 생각에 태백산은 여전히 라면과의 전쟁을 치르는 중입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강경모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민석 <br>영상편집 : 이은원